반응형 한미동맹3 미국 정부, 한국 '민감국가' 포함 공식 확인 "한미 과학기술 협력에 영향 없을까?" 현지시간 14일, 미국 에너지부(DOE)는 연합뉴스의 질의에 대해 "DOE는 광범위한 'SCL'을 유지하고 있다"며 "이전 정부가 2025년 1월 초에 한국을 SCL의 최하위 범주인 '기타 지정 국가'로 추가했다"고 공식 확인했습니다. 이는 조 바이든 행정부가 임기 종료 직전에 결정한 사안으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 직전에 이루어진 조치입니다. DOE의 대변인은 "현재 한국과의 양자 간 과학 및 기술 협력에 대한 새로운 제한은 없다"며 "DOE는 한국과의 협력을 통해 상호 이익을 증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한국이 민감국가 목록에 포함되었더라도 기존 협력 관계가 즉각적으로 중단되지는 않을 것임을 시사합니다. 하지만 이번 결정이 한미 과학기술 협력 및 양국의 외교 관계에 장기적으로.. 2025. 3. 15. 한미 외교장관, “북한 완전한 비핵화 지속적 협의” 🔹 한미 외교장관 회담, 핵심 의제는?한미 양국 외교장관이 독일 뮌헨에서 만나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를 재확인하며 지속적인 협력을 약속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과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은 뮌헨안보회의(MSC) 참석차 열린 양자회담에서 대북 정책을 비롯해 확장억제, 한미일 공조, 경제 협력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 회담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열린 한미 외교장관 회담이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크다. 미국이 한국과의 동맹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는 의지를 강조한 만큼 향후 양국 간 협력이 어떻게 전개될지 관심이 집중된다.🔹 미국, “북한 완전한 비핵화·확장억제 유지” 조태열 장관과 루비오 장관은 이번 회담에서 한반도의 안정과 북한 비핵화가 양국의 공통된 목표임을 재확인했다. 외교부 .. 2025. 2. 15. 이재명, "트럼프 북미대화 재개 지지, 노벨평화상 추천 고려" 이유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최근 미국 워싱턴포스트(WP)와의 인터뷰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북미대화 재개 노력을 지지하며, 노벨평화상 후보 추천도 고려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 같은 발언은 향후 한국의 외교 방향과 한반도 정세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이재명이 트럼프를 노벨평화상 후보로 고려한 이유1.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재개 기대이 대표는 인터뷰에서 "올해 안에 우리가 노벨평화상 후보로 트럼프를 공식 추천하는 상황이 오기를 바란다"며, 북미 간 핵·미사일 문제 해결에 진전이 있다면 모든 당사자에게 유익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과거 트럼프 행정부 시절,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정상회담이 성사되면서 한반도 비핵화 논의가 활발해졌습니다. 하지만 이후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지.. 2025. 2. 1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