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둥실 이것저것 리뷰

미국 상호관세 발효, 한국 25%, 중국 104% 부과

by 김둥실. 2025. 4. 9.
반응형

 

2025년 4월 9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따라 57개국에 대한 상호 관세가 공식 발효됐습니다. 특히 한국산 제품에는 25%, 중국산 제품에는 최대 104%에 달하는 고율 관세가 적용되면서 전 세계 무역 흐름에 큰 파장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 미국 상호관세란 무엇인가?

 

‘상호관세’는 미국이 무역 적자가 큰 국가에 대해 일방적으로 부과하는 보복성 관세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조치를 통해 “미국의 재정 회복과 공정한 무역질서 수립”을 강조하며, 상대국의 반응과 관계없이 관세 정책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주목! 한국산 제품도 예외 없이 25%의 관세가 적용되며, 이는 한국 수출기업에 큰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 중국, 관세율 104%… 미중 무역 전쟁 격화

 

중국은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해 보복관세 및 희토류 수출 제한으로 대응해왔습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기존 34%였던 중국 관세율을 84%로 상향, 여기에 펜타닐 유통 책임으로 20%를 추가하면서 총 104%라는 역대 최고 관세율을 부과했습니다.

  • 기존 관세: 34%
  • 추가 관세(84%): +50%P
  • 펜타닐 관련 관세: +20%
  • 최종 합산: 104%

이는 중국 수출 기업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며, 미국-중국 간 무역 전쟁의 수위가 한층 격화되었음을 보여줍니다.

반응형

🇰🇷 한국은 왜 25% 관세 대상에 포함됐나?

 

한국은 2007년 한미 FTA 체결 이후 대부분의 상품을 무관세로 교역해왔습니다. 하지만 이번 상호관세 조치에 따라 9일부터 모든 한국산 수입품에 대해 25%의 관세가 적용됩니다.

 

다만 백악관은 “일본과 한국은 협상의 우선 대상”이라며 관세 조정 가능성을 열어두었고,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이 즉각 협상에 나선 상황입니다.

💬 미국 수출을 고려한 한국 기업이라면 관세 협상 진행 상황을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합니다.


🔍 관세 인상, 한국 경제에 어떤 영향 줄까?

  • 수출 둔화 우려: 관세 상승으로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경우, 수출기업 매출 감소
  • 글로벌 공급망 위기: 중국과 한국의 동시 타격으로 생산 및 유통 비용 상승
  • 물가 상승 가능성: 미국 소비자가 부담하는 수입 비용 증가로 인한 인플레이션 우려

💡 지금 필요한 대응 전략은?

  1. FTA 협상 동향 실시간 확인
  2. 미국 수출 비중 높은 업종 중심의 리스크 관리
  3. 중국·미국 의존도 낮춘 대체시장 확보
  4. 정부의 무역 보조금 및 정책 지원 프로그램 확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