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5월이 성큼 다가왔습니다. 올해도 청년들을 위한 다양한 정부 지원 제도가 마련되어 있는데요. 현금부터 주거, 건강까지! 지금 당장 챙기지 않으면 놓칠 수 있는 꿀정책들을 정리해봤습니다. 2025년, 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지원금 정보만 모았습니다.
1. 청년도약계좌 🍀
청년을 위한 목돈 마련 전용 계좌! 청년도약계좌는 19세~34세 청년을 대상으로 정부가 함께 저축을 도와주는 상품입니다. 매달 최대 7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으며, 5년 만기 시 최대 5000만 원을 모을 수 있어요.
2025년부터는 3년 이상 유지 시 비과세 혜택과 정부 지원금의 60%도 받을 수 있게 됐어요. 단, 우대금리는 은행마다 다르니 꼭 비교해보고 선택하세요.
2. 청년주택드림대출 🏠
기존에는 신혼부부나 다자녀 가구만 가능했던 주택 대출이 이제는 무주택 청년도 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청년주택드림대출은 최저 2.2% 금리로 최대 4억 원까지 대출 가능해요.
청약 당첨 후 3개월 이내 신청 가능하며, 결혼이나 출산 시 추가 금리 혜택도 주어진답니다.
3. 청년내일저축계좌 👛
정부가 ‘1:1’로 함께 저축해주는 계좌! 월 10만 원 이상, 3년간 저축하면 정부도 같은 금액을 적립해줘요. 소득 수준에 따라 월 30만 원까지 지원되기도 하고요.
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는 5월 2일부터 16일까지 신청할 수 있으며,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에서 접수 가능합니다.
4. 청년 월세 지원 💰
매달 월세 20만 원을 최대 12개월간 지원해주는 제도! 월세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는 이 정책은 임차보증금 8000만 원 이하, 월세 60만 원 이하 주택에 거주하는 1인 청년가구가 대상입니다.
지역별로 신청 일정이 다르니 서울시 등 지자체 공고를 꼭 확인하세요.
5. 청년 주거급여 분리지급 👥
부모와 다른 주소에 살고 있다면 주거급여를 따로 받을 수 있어요. 부모가 주거급여 수급자이고, 청년이 독립해 살고 있다면 신청 가능! 1인 가구는 월 최대 35만 원 넘게도 받을 수 있어요.
부모님의 중위소득이 46% 이하라면 복지로 홈페이지나 주민센터에서 신청해보세요.
6. 그 외 청년 혜택들
- 국가장학금 확대: 학자금 지원 9구간까지 확대!
-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석사 월 80만 원, 박사 월 110만 원 지급
- 장병내일준비적금: 월 납입 55만 원으로 만기 시 최대 약 2019만 원 수령
- 면접 양복 대여: 서울시 등에서 연 10회 무료 대여
- 청년 마음건강 지원: 기본 6회 심리상담, 맞춤 검사 지원
2025년은 청년을 위한 지원금과 제도가 유독 풍성한 해입니다.
자격이 된다면 꼭 신청해서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 내 삶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꿀정책, 지금 바로 챙겨보세요!
'김둥실 이것저것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산된 임시 공휴일, "5월 2일 다들 쉰다는데?" 갑론을박 논란 (0) | 2025.04.28 |
---|---|
CATL의 사업확장, 국내 중국 투자 적기일까? (0) | 2025.04.25 |
건진법사는 누구? 정치권 휩쓴 ‘건진법사 게이트’의 정체 (0) | 2025.04.24 |
박상돈 천안시장, 공직선거법 위반 "당선 무효" (0) | 2025.04.24 |
전세사기 특별법 일몰 2년 연장, 국토위 "피해자 보호 공백 막겠다" (0) | 2025.04.23 |